- 디지털 사회에서의 새로운 불평등: 디지털 격차.
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디지털 경제와 사회의 출현이
정보통신기술(ICT)에 대한 접근과 활용
이 가능한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사이의 격차를 만들어내고 있다.
- 디지털 격차의 주요 양상. 접근과 이용이라는 두 가지 지표를 중심으로 소득, 교육, 가구유형, 연령, 성, 인종, 지리 등 다양한 차원에서 디지털 격차를 분석합니다. 이 문서는 OECD, EU, 한국의 데이터를 인용하여 디지털 격차의 차이와 추세를 보여줍니다.
- 서울의 디지털 격차.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(2% 표본)의 자료를 사용하여 서울시의 디지털 격차를 소득, 교육, 직업, 자치구별로 살펴봅니다. 이 문서는 서울시 내에서도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에 있어 다른 집단과 지역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줍니다.
- 디지털 통합을 향하여.
디지털 경제와 사회로의 전환에 직면하여 확대될 수 있는
디지털 격차를 중요한 정책문제로 인식하고
보편적 서비스의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
- 보편적 서비스의 원칙
- 디지털 격차를 모니터링하고 감소시키고 예방하기 위한 대책 제안
- 디지털 접근시스템 구축
- 교육 및 학습기회 제공
- 사회보장 및 복지서비스 강화